반응형


한국의 전설에 등장하는 강철이는 매우 특이한 존재입니다. 전설 속에서 그는 맹렬한 열기와 폭풍으로 산천초목을 모두 말려버리고 농작물을 망치는 재해 그 자체를 상징한다고도 하는데요.

강철이라는 이름도 다양하여. '꽝철', '깡처리'라 불리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강철이'가 통용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지역에 따라 다르게 발음된 것으로 보이네요.

강철이는 그 기록이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래동화와 설화 곳곳에서 발견된다고 하네요. "강철이 간 데는 가을도 봄"이라는 속담까지 있으니 말입니다. 그나저나 이 속담에서도 알 수 있듯 강철이가 휩쓸고 간 곳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는 참혹한 모습이 연상됩니다.

강철이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유래는 특정한 속성에 구애받지 않고 농사를 망치는 모든 재해 그 자체를 형상화한 존재였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요즘은 용이 되는데 실패한 이무기가 변하여 생긴 괴물이라는 설이 유력한 듯 합니다. 용이 되지 못한 울분과 화가 내면에서 끓어오르며 천불이 일어 불을 다룰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죠.

 



예전에는 그저 재해의 화신 정도로만 여겨졌던 강철이가 시대가 바뀌면서 용을 간절히 원했지만 실패한 슬픈 존재로 여겨지게 된 것인데요. 스토리텔링이 유행하는 요즘이기에 강철이라는 존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단순한 미신을 벗어나 괴물의 기원과 정체성을 좀 더 논리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가 엿보이는 것 같습니다. 결국 이것도 시대의 흐름에 따른 설화의 변천이겠죠.

강철이의 단편적인 전설 속에서는 모습에 대한 상세한 묘사가 없었기 때문에 현대 창작물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재탄생되고 있는 듯 합니다. 웹툰 '호랑이형님'에서의 꽝철, 애니메이션 '신비 아파트'에서의 강철 처럼 말이죠.

 

물론 전설과는 다른 특징과 요소들이 추가되더라도 그 또한 매력적으로 재해석만 된다면 나쁠 것은 없다 생각됩니다.

반응형

'거짓부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데드(Undead) 안죽었엉~  (7) 2024.04.02
드워프에 대해서  (1) 2024.04.02
그슨새_제주도의 전통 요괴  (12) 2024.03.31
거구귀_한국의 요괴  (24) 2024.03.31
두억시니_한국의 난폭한 악귀  (0) 2024.03.30
반응형

 


판타지 세계에는 다양한 생명체들이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슬라임은 가장 원시적이고 기괴한 몬스터 중 하나입니다. 아마 게이머들아니 만화책 매니아들에게는 단순한 점액질 덩어리인 초반 렙업용 귀염둥이에 불과하지만 슬라임은 그 비정상적인 생리와 습성으로 인해 공포의 대상이기도 합니다.

 

슬라임은 세포 하나하나가 살아있는 원시적인 생명체인데 개체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세포와 같이 움직이는 독특한 구조를 지녔다는 설정으로 본능에 가까운 원초적 생존 방식을 취하는 몬스터입니다.

슬라임의 가장 큰 특징은 주변의 모든 생명체를 꿀꺽해서 성장한다는 점입니다. 보통 서식지인 동굴에 대상이 접근하면 천장에서 떨어져 습격하는 방식을 취하죠. 보틍은 그저 이끼나 물방울이 맺힌 거라 생각하고 신경을 쓰지 않으니 쉽게 당합니다. 그럼 슬라임은 그 피해자를 감싸고는 피해자의 세포를 녹여 자신과 동화시켜 나가게 되는 거죠.

 

 


슬라임이 몸에 묻으면 화염이나 마법으로 제거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는 설정도 있습니다. 제거를 못하면 결국 피해자의 세포가 전부 슬라임화 되어버린다는 무서운 설정이죠. 슬라임은 자신보다 큰 생명체를 먹이 삼아 동화시키는 경향이 있다고 하는데 그저 본능적으로 배고픔을 해소하려는 움직임으로 설정됩니다. 

 

솔직히 이렇게 보면 판타지 게임이나, 소설의 슬라임은 정말 귀여운 존재였구나 싶을 수 밖에 없습니다. 진짜 슬라임은 좀비한테 물리는 것과 같은 공포스러운 존재에 가깝지 않을까 싶은데 말이죠.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라는 라이트노벨(만화화 되었죠)은 슬라임의 무서움을 제대로 보여줍니다. 리무르 슬라임이 쳐묵쳐묵 하다 마왕까지 되는 슬라임계의 신급 존재니까요. 슬라임의 포식 능력을  무시무시하게 표현했다고 보여집니다. 만약 저런 슬라임이 적이라면 아찔할테니 말이죠.

귀여운 외견은 아무래도 드래곤 퀘스트 때문에 시작된 게 아닌가 싶은데, 실제로는 엄청 무서운 존재인 것을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상당한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전생슬라임 같은 작품도 써낼 수 있을지 모르니까요.

반응형
반응형

 


제주도의 전설 속에 등장하는 그슨새는 매우 독특하고 특이한 요괴입니다. 보통 귀신이나 요괴는 밤에 활동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슨새는 낮과 밤 가리지 않고 나타나 사람들을 공격한다고 합니다. 

그슨새의 가장 큰 특징은 제주도 전통 비옷인 '주젱이'를 뒤집어쓴 모습이라는 점인데요. 주젱이란 제주도의 대표적인 비옷(짚단을 묶어 얼핏보면 우산처럼도 보입니다. 그래서 그슨새를 우산요괴라고도 합니다.)으로, 그슨새는 이를 거꾸로 뒤집어쓴 채 혼자 있는 사람들을 노리고 다닌다고 전해집니다.

그슨새라는 이름 자체에도 제주도만의 독특한 문화가 배어있다고 합니다. 제주도에서는 '새'라는 말을 사악한 기운이나 액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했다고 하는데 이 '새'는 '사악할 사(邪)'자가 와전되어 생긴 말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리고 제주도에서는 살인죄를 지은 사람들에게 주젱이를 씌웠는데 그들이 죽어 이런 요괴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어쨌든 그슨새는 사악하다는 의미의 '새'라는 글자가 붙을 정도로 아주 사악한 악귀라고 할 수 있는데요. 무서운 점은 일반적인 요괴나 귀신들과는 달리 낮에도 활개를 치고 다니며, 혼자 있는 사람들만을 노려 해치고 홀리는 것입니다. 그슨새에게 홀린 사람은 정신이 혼미해지고 얼이 빠지게 되는데요 다른 사람이 말을 걸거나 말리면 그 효과가 사라지기 때문에 그슨새가 혼자 있는 사람만을 노리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슨새는 위에서 말한 비옷인 주젱이를 펄럭이며 날아다니다가 자신이 정한 대상에게 달려들어 해치려 한다고 하는데요. 요즘 그슨새는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같은 곳에서 색다른 능력을 부여받아 설치고 다니는 듯 합니다.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고스트볼의 비밀'에서 그슨새는 순간이동과 팔 늘리기, 물과 바람으로 소나기를 내리는 능력 등을 지녔다고 묘사되어 있듯이 말이죠.

 

창작물에서 그슨새의 능력은 조금씩 상이하지만 그 본질적인 특성만큼은 유지를 시키고 있는 듯 합니다. 바로 제주도 전통 요괴와 관련이 있다는 점과 사악한 악귀라는 점 같은 것 말이죠.

 

 

반응형

'거짓부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워프에 대해서  (1) 2024.04.02
강철이_ 한국의 요괴  (20) 2024.04.01
거구귀_한국의 요괴  (24) 2024.03.31
두억시니_한국의 난폭한 악귀  (0) 2024.03.30
그슨대_한국의 악귀  (0) 2024.03.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