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두뇌 속 가상현실 또는 통 속의 뇌 가설은 현대 철학과 과학기술 분야에서 널리 논의되고 있는 주제입니다. 이는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 세계가 실제로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 가설의 뿌리는 17세기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의 회의주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데카르트는 "악령이 우리를 속일 수 있다면 우리가 경험하는 것이 실재인지 의심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후 영화 매트릭스가 개봉하면서 대중에게도 잘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본격적으로 '통 속의 뇌' 가설을 제기한 것은 현대 철학자 힐러리 퍼트넘입니다. 그는 사고실험을 통해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가 실제가 아닐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그의 가설에 따르면, 실험실에서 단순한 뇌를 기계에 연결하고 전기신호를 보내면 마치 현실과 같은 가상현실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퍼트넘은 이를 통해 진정한 실재 세계와 시뮬레이션 된 가상현실을 구분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감각 경험과 정신 활동이 동일하게 재현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가설이 사실이라면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가 실재가 아닌 엄청난 컴퓨터 시뮬레이션일 가능성이 있는 것이죠. 의외로 많은 과학자와 철학자들이 이러한 가능성을 부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 발전하고 있는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기술도 이 가설을 뒷받침합니다. 현재는 시각과 청각에 국한되어 있지만, 미래에는 오감을 자극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 때문입니다. 이는 마치 영화 매트릭스에서 보여준 것과 같은 가상세계를 구현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최근 딥마인드와 같은 선도 기술 기업들이 현실과 구분하기 힘든 수준의 가상세계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머지않아 인간의 오감을 완벽히 재현할 수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등장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결론적으로 '통 속의 뇌' 이 가설은 단순한 사고실험이 아닌 실현 가능한 이론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비록 아직까지는 실제로 구현되지 않았지만, 급속도로 발전하는 기술 수준으로 미루어볼 때 가까운 미래에 현실이 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가 진정한 실재가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은 철학적 의문을 넘어 과학적으로도 실체화 되어 가고 있는 것입니다.

반응형

'거짓부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구기관  (18) 2024.05.06
르상티망  (26) 2024.05.05
모헨조다로  (43) 2024.05.03
피그말리온  (35) 2024.05.02
철학적 좀비  (36) 2024.05.01
반응형

 

모헨조다로는 파키스탄 서부 신드 지방에 위치한 고대 인더스 문명의 대표적인 유적지로, 그 신비로운 모습과 갑작스러운 멸망 미스테리로 인해 많은 관심과 추측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모헨조다로는 신드어로 '죽음의 언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 이름은 유적지가 발견되었을 당시 황량한 모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고고학자들은 모헨조다로가 기원전 2600년경부터 기원전 1800년경까지 번성했던 인더스 문명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다고 보고 있습니다.

 

 

고고학자들의 발굴 결과, 당시 모헨조다로에는 약 4만 명의 인구가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잘 계획된 도시 구조와 배수 시스템, 화장실 시설 등 당시로서는 상당히 발달된 문명이었으며 대형 공공 건물과 작은 성전 유적 등이 발견되어 종교와 행정이 발달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모헨조다로는 기원전 1800년경 갑자기 몰락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추측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기후 변화나 지진,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것이라고 보지만, 다른 이들은 외부 침략이나 내전 등의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죠.

 

 

특히 모헨조다로 유적에서 발견된 일부 유골의 모습은 신비로운 추측을 낳게 했습니다. 약 46구의 인골이 발견되었는데, 그중 9구는 고열에 노출된 흔적이 있었기에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고대 핵전쟁설까지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물론 핵전쟁이라고 하기에는 애매한 수준이지만 말이죠. 갑작스러운 문화 유적의 몰락, 그 이면에 숨겨진 미스테리에 대한 탐구도 계속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거짓부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상티망  (26) 2024.05.05
매트릭스 통 속의 뇌  (41) 2024.05.04
피그말리온  (35) 2024.05.02
철학적 좀비  (36) 2024.05.01
화성 테라포밍  (33) 2024.04.30
반응형

피그말리온은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키프로스 섬의 조각가이자 왕으로, 자신이 만든 조각상에 사랑에 빠지게 되는 이야기를 통해 예술가의 창작 열정과 이상향에 대한 은유로 해석됩니다.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 비롯된 이 신화는 수많은 문학 및 예술 작품의 영감이 되었으며, 특히 버나드 쇼의 동명 희곡과 이를 원작으로 한 뮤지컬 '마이 페어 레이디'로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습니다.

 

 

피그말리온 신화는 기원전 1세기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의 대서사시 변신 이야기에 등장합니다. 오비디우스는 키프로스 섬의 왕이자 조각가인 피그말리온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습니다.

 

" 피그말리온은 당시 키프로스 섬 여인들의 방탕한 삶에 실망하여 여성을 멀리하게 된다. 그는 결혼을 거부하고 조각에만 전념하며, 마침내 여신상을 본뜬 완벽한 상아 여인상을 만들어낸다. 이 조각상은 너무나 생기 있고 아름다워 보는 이로 하여금 살아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켰다.

 

피그말리온은 점차 자신의 작품에 빠져들게 되고, 마치 진짜 여인을 사랑하듯 그 조각상을 가까이하게 된다. 그는 조각상에 입맞춤을 하고 선물을 주었으며, 심지어 그것을 아내라고 불렀다고 한다.

 

마침내 피그말리온은 아프로디테 여신께 제단에서 기도를 올리며, 자신의 상아 조각상과 닮은 진짜 여인을 아내로 삼고 싶다는 소원을 빌었다. 아프로디테는 그의 순수한 사랑을 감동받아 그 소원을 들어주었고, 놀라운 기적이 일어나 조각상이 살아나 그의 아내가 되었다는 것이다. "

 

 

피그말리온 신화는 요즘 시대에도 여전히 많은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최첨단 기술과 결합된 현대판 피그말리온 이야기도 등장하고 있는데, 인공지능 로봇이나 가상 인간에 사랑에 빠지는 내용을 다루죠. 

 

 

한편, 요즘은 피그말리온 신화도 페미니즘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피그말리온이 여성을 인형처럼 취급한다는 점, 그리고 만들어진 여성상이 남성 중심적 가치관의 산물이라는 비판이죠.

 

 

하지만 대부분의 현대적 해석은 피그말리온의 창조 행위 자체가 가진 상징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예술가의 이상향과 창작 열정을 표현한 것이 요즘 시대에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자기개발서들을 보면 이 피그말리온 신화 이야기를 피그말리온 효과라 하며 칭찬은 고래도 춤춘다. 사람을 바꾼다는 식으로 풀이들을 많이 하고 있기도 하니까요. 

 

 

시대를 초월한 이야기 자체의 매력도 있으며 생각할 거리도 주는 이야기입니다. 

반응형

'거짓부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트릭스 통 속의 뇌  (41) 2024.05.04
모헨조다로  (43) 2024.05.03
철학적 좀비  (36) 2024.05.01
화성 테라포밍  (33) 2024.04.30
안티키테라 기계  (26) 2024.04.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