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판도라의 이야기는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한 널리 알려진 일화입니다. 이 이야기는 인간의 호기심과 그에 따른 재앙, 그리고 남은 희망에 대한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판도라는 그리스 신화에서 최초의 여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장장이의 신 헤파이스토스가 제우스의 명령으로 흙으로 만든 여성인데, 다른 신들이 각자의 재능을 보태 아름답고 매력적인 모습이 되었습니다. 이름 '판도라'는 '모든 선물을 가진 자'라는 뜻입니다.

 

판도라에게는 결혼 때 하늘과 대지, 바다의 모든 생물들이 각자의 선물을 주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밀봉된 단단한 항아리였는데, 판도라에게는 절대 열어보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하지만 호기심 많은 판도라는 결국 항아리를 열고 말았습니다. 그 순간 온갖 재앙과 고통, 질병, 노동 등이 항아리에서 터져 나와 인간 세상에 퍼져나갔습니다. 판도라는 재빨리 뚜껑을 닫았지만 이미 모든 것이 세상으로 나와버린 뒤였습니다.

 

그러나 항아리 밑바닥에는 엘피스(elpis), 즉 희망이 남아있었습니다. 이로써 인간에게는 고통과 역경도 있지만, 희망을 갖고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이 이야기 속 '항아리'가 중세 라틴어로 번역되면서 '상자(pithos -> pyxis)'로 오역되어 '판도라의 상자'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 하지만 원래는 흙으로 빚은 밀봉된 단단한 항아리였습니다.

 

 

판도라 이야기는 여러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먼저 호기심과 금지된 것을 어기면 큰 대가를 치르게 된다는 점이죠. 또한 모든 인간에게는 고통과 역경이 주어졌지만, 그 속에서도 희망을 남아있으니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가야 한다는 메시지도 들어 있습니다.

 

판도라의 이야기는 단순한 신화를 넘어 인간 삶의 본질과 태도에 대한 철학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호기심으로 인해 불행이 시작되었지만, 희망을 놓지 않는다면 그 불행을 이겨낼 수 있다는 교훈은 오늘날에도 유효한 진리입니다.

반응형

'거짓부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의 오행사상  (34) 2024.04.29
달기_봉신연의  (20) 2024.04.28
아틀란티스 대륙  (2) 2024.04.11
에키드나  (1) 2024.04.11
롱기누스의 창  (2) 2024.04.10
반응형

 

아틀란티스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대화편 '티마이오스'와 '크리티아스'에 처음 등장하는 전설의 대륙입니다. 이 대륙은 현재의 지브롤터 해협 근처에 있었다고 전해지며, 고도의 문명과 막강한 군사력을 가졌지만 결국 신들의 분노로 하루아침에 바다에 가라앉았다고 합니다. 아틀란티스 전설은 수많은 작품과 문화에 영향을 끼쳤으며, 그 실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플라톤에 따르면, 아틀란티스는 지브롤터 해협 근처에 위치했던 대륙으로, 기원전 9400년 경에 번영했던 고도의 문명국가였습니다. 이 시기는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문명보다 훨씬 이전입니다. 그리고 아틀란티스인들은 점점 부와 영토를 탐냈기에, 이에 신들의 분노를 사게 되었고 결국 하루 만에 거대한 지진과 홍수가 일어나 아틀란티스 대륙 전체가 바다에 가라앉고 말았다고 플라톤은 기록했습니다.

 

 

아틀란티스 전설은 수많은 작가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쥘 베른의 소설 '해저 2만리'에서는 아틀란티스 유적을 발견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애니메이션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에서도 아틀란티스 문명이 중요한 배경이 됩니다. 아틀란티스의 실제 존재 여부는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 왔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플라톤의 기록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지만, 다른 이들은 이를 일종의 비유로 보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과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아틀란티스의 존재 가능성을 탐구하는 연구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틀란티스 전설은 고대 문명에 대한 인류의 상상력과 호기심을 보여줍니다. 또한 인간의 교만과 탐욕이 초래할 수 있는 파국적 결과를 경고하는 메시지로도 해석됩니다. 설령 실제 존재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아틀란티스 전설은 인류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중요한 신화로써의 가치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반응형

'거짓부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기_봉신연의  (20) 2024.04.28
판도라의 상자? 항아리?  (1) 2024.04.12
에키드나  (1) 2024.04.11
롱기누스의 창  (2) 2024.04.10
MU 대륙  (15) 2024.04.10
반응형

 
에키드나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가장 악명 높은 괴물들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신화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영웅들의 모험과 고난의 배경이 되었습니다. 

에키드나의 기원과 외모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가장 유명한 것은 그녀가 반인반수(半人半獸)의 모습 즉, 상반신은 아름다운 미녀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하반신은 거대한 뱀의 형상을 지니고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상반신은 미녀이지만 하반신은 뱀의 모양을 한 괴물로 티폰의 아내라는 설이 있어 지옥을 지키는 개 케르베로스, 머리가 두개 달린 개 오르토스, 레느네의 히드라, 황금 사과를 지키던 라돈, 프로메테우스의 간을 쪼아먹는 독수리 에톤, 영웅 페르세우스에게 쓰러진 케토스 아르고나우타이의 이야기에서 황금양을 지키던 용, 영웅 벨레로폰에게 쓰러진 괴수 키마이라 등을 낳았다고 하죠. 또한 어린 아이인 오르토로스와의 사이에서 네메아의 사자와 스핑크스를 낳았다고도 합니다. 

이처럼 에키드나는 그리스 신화 속에서 가장 무서운 괴물들의 어머니 역할을 했습니다. 그녀가 낳은 자식 괴물들은 영웅들의 모험에 큰 위험과 장애물이 되었고, 그들이 이를 극복해내는 과정에서 영웅 신화가 탄생할 수 있었습니다. 에키드나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그리스 신화는 많은 부분이 빠져 있었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에키드나의 아이들 대다수가 헤라클레스의 모험에 관여하고 있으며 다른 아이들도 유명한 괴물 퇴치 에피소드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기 때문이죠. 괴물들의 어머니 에키드나가 없었으면 그리스 신화는 앙꼬 없는 찐빵이나 다름 없었을 듯 합니다.

반응형

'거짓부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도라의 상자? 항아리?  (1) 2024.04.12
아틀란티스 대륙  (2) 2024.04.11
롱기누스의 창  (2) 2024.04.10
MU 대륙  (15) 2024.04.10
슈퍼 스트링 이론  (16) 2024.04.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