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른바 "무더기의 역설"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마주치는 모호한 경계에 대한 딜레마를 잘 보여줍니다. 이 역설은 대머리와 대머리 아님의 경계를 정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지만, 이는 단순히 머리카락의 수에 국한된 문제가 아닙니다. 오히려 이는 우리가 세상을 이분법적으로 바라보려는 경향에서 비롯된 보편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더기의 역설이란?


"무더기의 역설"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렌의 역설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역설은 "한 올의 머리카락을 뽑는다고 해서 대머리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마지막 한 올까지 뽑아도 대머리가 아닐까?"라는 의문에서 시작됩니다. 여기서 핵심은 "대머리"와 "대머리 아님"의 경계를 명확히 정의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머리카락의 수가 점점 줄어들면서 어느 시점부터 "대머리"라고 불러야 할지 모호해집니다.

 

 

이처럼 모호한 경계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시험 점수: 80점이 합격 기준이라면 79점과 80점 사이에 큰 차이가 없음에도 합격 여부가 갈립니다.

 

나이 제한: 특정 나이를 기준으로 혜택을 주거나 제한하는 경우, 비슷한 나이에도 대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키: 탑승 가능 키를 180cm로 정했다면 179cm와 180cm 사이에 실질적인 차이가 없음에도 탑승 여부가 갈립니다.

 

이처럼 우리는 연속적인 값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려 할 때 경계 지점에서 모호성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런 모호성은 우리가 세상을 "이것 또는 저것"으로 이분법적으로 바라보려는 데서 비롯됩니다. 하지만 현실 세계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개념과 현상은 연속적이며, 경계를 정의하기가 모호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가난"과 "부유함"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려 하지만, 실제로는 연속적인 스펙트럼입니다. 마찬가지로 "건강함"과 "병들었음"의 경계도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런 모호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연속성을 인정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경계를 명확히 정의하기보다는 그 경계가 모호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그 경계를 정의할 때는 단순한 수치만이 아니라 맥락과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키에 따른 제한을 둘 때는 단순한 수치 기준보다는 안전과 편의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무더기의 역설"은 우리가 세상을 이분법적으로 바라볼 때 마주치는 딜레마를 잘 보여줍니다. 하지만 이는 세상이 복잡하고 연속적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연속성을 인정하고, 맥락과 상황을 고려하여 유연한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모호한 경계에 직면했을 때 보다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거짓부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륵보살, 미륵신앙  (3) 2024.06.01
삶과 죽음을 주재하는 신화 속 인물 염라대왕  (24) 2024.05.15
테세우스의 배  (24) 2024.05.12
저지 데블  (23) 2024.05.11
갓파  (21) 2024.05.10
반응형

 

철학적 좀비는 현대 철학에서 의식의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고안된 가상의 개념입니다. 이 개념은 의식과 물질의 관계, 그리고 의식이 물리적으로 환원 가능한지에 대한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철학적 좀비는 인간과 물리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유일하게 주관적 경험이나 의식을 갖지 않는 가상의 존재를 말합니다. 즉, 철학적 좀비는 우리와 똑같이 행동하고 생각하며, 언어를 구사하고 문제를 해결하지만, 내적 체험이나 의식은 전혀 없는 존재인 것이죠.

 

 

철학적 좀비라는 개념은 데이비드 채털스가 물리주의에 대한 반박 논리를 제시하고자 제창한 것입니다.

 

 

물리주의는 모든 것이 물리적 실체와 법칙으로 설명 가능하다는 입장으로 이에 따르면 의식 또한 물리적 뇌 활동으로 환원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채털스는 물리주의가 설명하지 못하는 주관적 경험이라는 것이 존재한다고 보았기에 만약 철학적 좀비가 가능하다면, 즉 물리적으로 동일한 존재가 의식을 갖지 않을 수 있다면, 물리주의는 성립하기 어렵다는 것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철학적 좀비에 대한 반론 중 하나는 '지능'과 '의식'의 개념적 혼동에서 비롯된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의식은 주관적 경험을 뜻하지만, 지능은 외적 행동과 추론 능력을 말하는데요. 철학적 좀비는 지능은 있지만 의식이 없다고 가정하는데, 이는 의식과 지능이 별개라는 잘못된 전제에서 출발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일부 철학자들은 의식을 정의하는 방식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하며, 의식이 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고 단정하기에는 의식에 대한 이해 자체가 부족하다는 주장을 하기도 합니다.

 

 

물리주의자와 반물리주의자 모두 철학적 좀비 개념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펼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 문제에 대한 결론은 나오지 않은 상태로 앞으로도 철학적 좀비 개념을 포함하여 의식의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과학적, 철학적 연구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의식과 물질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인간 존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이죠.


반응형

'거짓부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헨조다로  (43) 2024.05.03
피그말리온  (35) 2024.05.02
화성 테라포밍  (33) 2024.04.30
안티키테라 기계  (26) 2024.04.30
위그드라실  (37) 2024.04.29

+ Recent posts